▲ 박종덕 본부장
이번 서울시장 선거에선 무소속이 당선된다.

점쟁이는 아니지만 시대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정도는 되기 때문에 오는 10.26서울 보궐선거는 무조건 무소속이 될 것이라 확신한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은 3가지 점 때문이다.

첫째, 정치가 너무 가벼워졌기 때문이다. '가벼움'은 국민들에게 감동을 주기는 커녕 때론 짜증을 준다. 이게 오늘날 한국정당 정치의 현실이다.

예전에는 그렇치 않았다. 과거 YS-DJ-JP 소위 3김이 정치의 중심에 서있을 때만 해도 중량급 정치시대였다. 보스(BOSS)정치라며 폄하도 있었지만 거꾸로 얘기하면 지금과 달리 리더십이 확고했다. 이를 따르는 세력들 역시 자발적이었고 충성심도 강했기 때문에 그 자체를 탓할수는 없었다.

이들과 맞선 박찬종 같은 인물도 있었다. 그뒤 노무현 같은 인물도 나왔다. 이들 두 사람은 그전 3김보다는 비중이 다소 떨어지기는 했지만 국민들에게 '정치개혁' 이라는 화두로 감동을 주었던 인물들로 회자된다.

당시에는 국민들의 정치에 대한 관심이 많아 투표율도 높았는데 그 이유중 하나가 바로 거물정치, 함부로 근접할 수 없는 중량급 정치에 대한 외경 때문이었을 것이다.

그런데 요즘 정당정치는 어른이 없다보니 의리도 없고 선후배도 없다.탤런트 마냥 그저 그런 인물이 판치고 정당내에서조차 검증되지 않은 인물이 시장 후보 입방아에 오르내리곤 한다.인물이 너무 가벼워 진 것이다. 예전의 정치가 최하 미들급 이상의 선수들이 싸우는 권투였다면 지금은 플라이급 선수들이 싸운 것과 마찬가지다. 정치가 중량급에서 경량급으로 내리 앉은 것이다.

그러다보니 경량급 인사에 속하는 고만고만한 인사들이 정당에서 판치고 있다. 과거 같으면 최고위원도 못될 인사들이 최고위원이랍시고 정당 권력의 핵심에 있지만 국민들 눈에는 시답지 않게 보인다. 정치가 가벼워지다보니 정당인사조차도 가볍게 보는 것이다.

이렇다보니 예전과 달리 국민들은 정당공천에 의한 자치단체장 선발을 싫어한다.게다가 지자체를 운영하는 시장이란 자리는 국회처럼 정파에 휘둘리는 국회의원들과는 성격이 다르며 하는 일도 다르다.

실제로 해당지자체를 운영하다보면 여야에 관계없이 도움을 청하기 마련이다. 또한 여야에 관계없이 진정성을 갖고 해당 지자체를 도와주면 그것처럼 고마운 의원이 없다.

실제로 전남동부권 주요 도시인 순천과 광양. 여수는 모두 무소속 후보들이 지난 지방선거에서 민주당 공천자를 물리치고 모두 당선됐다.과거 이들 지역은 민주당 공천을 받지 못하면 명함도 못내미는 지역들이었지만 지역민의 정치의식이 이렇게 변한 것이다.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이제는 시민들은 정당에 기대에 정치 하려는 사람보다 여야에 관계없이 정치에 휘둘리지 않는 인물을 훨씬 선호한다는 것이다.이는 감동도 없고 가벼워진 정당정치에 대한 불신 혹은 혐오증 때문에 기인되었다.

둘째, 최근 무상급식 논란의 쟁점에 서 있었던 오세훈 전 서울시장과 곽노현 서울 교육감이 정치에 휘둘리는 것에 대한 서울시민들의 '반감' 때문이다.

'무상급식' 문제를 갖고 전면전으로 치닫던 두사람중 한 사람은  눈물까지 흘리며 자진사퇴를 발표하더니 며칠뒤에는 실제로 선거결과에 승복한다며 사퇴했다. 또 서울 교육의 수장이란 곽노현 교육감은 지방선거 당시 후보자리를 양보한 인사에게 선의로 2억원을 줬다며 버티고 있는 형국이다. 한마디로 무상급식 후폭풍이 나라전체를 시끄럽게 하고 있다.

교육이 정치보다 더 시끄럽다.정치문제에 너무 깊숙히 개입된 것이다. 교육은 교육다워야 하는데,오히려 정치논리화 됐다. 결국 이 문제가 부메랑이 되어 두 사람 모두에게 돌아와 당사자 모두 퇴진할 상황에 처해 있는 것이다.

한편으론 '업보'이고 또 한편으로는 '자업자득'이란 국민들의 심판의 목소리가 들린 이유도 이 때문이다. 그런 비판 목소리의 핵심요지는 ‘밥먹는 문제를 갖고 제발 정치적으로 휘둘리지 말자’라는 것이다.

밥먹는 문제를 갖고 정략적으로 이용한 댓가가 결국 둘 모두의 퇴진으로 귀결될 처지에 놓여있는데, 이 역시 교육문제를 지나치게 정치적으로 남용한 결과이다.

셋째, 보수와 진보를 진정으로 대변하지 못한 정당들이 보수와 진보를 대변하는 것처럼 행세한 것에 기만당한 '의식있는 세력'의 정당정치에 대한 불신 때문이다.

“한나라당이 보수이고 민주당이 진보인가”라는 질문에 과연 ‘그렇다’라고 답을 할 의원들이 당에서 몇이나 있을까?

한나라당은 더 이상 보수정당이 아닌 것임은 알만한 사람은 다안다. 사안에 따라 보수적입장을 견지할 뿐이다.

단적인 예가 ‘북한인권법’ 문제다.보수를 표방하면서 북한인권법 조차도 통과시키지 못한 집권정당이 과연 보수라고 하면 북한인권법을 이미 제정한 미국이나 일본은 아마도 황당해 할 것이다

결과론적으로 한나라당은 보수정당이 아니다.

그렇다면 민주당이 진보정당인가? 이 역시 우문에 불과하다.

진보의 핵심가치인 보편적인권에 관심을 가진 의원이 민주당내 과연 몇이나 있나? 민주당의 온상인 인권도시 광주에서 세계인권대회를 개최하면서 정작 같은 민족인 북한의 인권문제에 대해선 '나몰라라' 했던 게 바로 몇 달전 일이다.

당시 세계인권대회를 한답시고 세계인권운동가와 인권단체 대표들이 광주에 모여 포럼을 즐겼지만, 그 행사에 유일하게 초청받지 못한 인권단체가 다름아닌 북한인권운동단체였다는 사실을 아는 이는 그리 많치 않다.

그 포럼에선 진보의 핵심가치인 보편적 인권문제, 즉 북한인권문제에 대해선 다들 침묵했다. 보편적복지에 대해선 목숨이라도 걸 것처럼 하면서 진보의 핵심가치인 보편적 인권문제에 대해선 이상하리만큼 침묵을 지켰던 것이다.

따라서 이런 북한인권 문제에 대해 정작 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민주당도 진보정당이 아니다. 사안에 따라  진보적입장을 견지할 뿐이다.

결과론적으로 한나라당이나 민주당이나 사안에 따라 자의 혹은 타의에 의해 보수적 혹은 진보적입장을 강요 당할 때 그 입장을 견지할 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개의 거대한 정당이 보수와 진보를 대변한답시고 국민을 기만하고 있다.최근 강용석 의원 제명안이 부결된 것은 이런 내부 속사정이 교감했기 때문이다.

다가오는 10.26 서울시장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가 당선될 수 밖에 없는 제반 여건이 성숙되고 있다. 

게다가, 그 대상이 ‘안철수’ 라면 서울시민들은 '좌면우고' 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저작권자 © 데일리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