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열의 정치´선호한 호남 정치성향이 ´통합´ 무산시켜

▲ 행안부가 실시한 전남지역 통합지역 여론조사 결과
행안부의 여론조사 결과 호남과 영남 그리고 수도권에서의 행정구역통합 여론이 판이하게 달랐다.

11일 행정안전부는 행정구역 자율통합 대상지역으로 청주ㆍ청원, 수원ㆍ화성ㆍ오산, 성남ㆍ하남ㆍ광주, 안양ㆍ군포ㆍ의왕, 창원ㆍ마산ㆍ진해, 진주ㆍ산청 등 6곳을 선정했다.

수도권과 영남권 그리고 충청권이 포함됐지만 호남은 단 한 곳도 포함이 안됐다.

전남 동부권인 순천-여수-광양-구례 그리고 서부권인 목포-신안-무안, 전북의 전주와 완주 지역이 이번 행정구역 통합지역이었지만 단 한 군데도 성사되지 못했다.

그 이유는 세가 열악한 자치단체가 통합을 거부했거나, 특정 자치단체의 일방적 통합안에 나머지 지자체의 반대가 주된 이유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호남의 통합안과 비슷한 양상이 벌어졌던 영남권과 수도권 그리고 충청권은 통합에 찬성했다.

결국 이번 통합과 관련해 호남인들의 본질적인 정치성향에 대해 분석을 하지 않을 수 없다.

호남의 정치성향은 대외적으론 단결력이 강하지만 대내적으론 반목이 심하다.작고한 김대중 전 대통령에 대한 과거 대통령 되기전까지의 90%가 훨씬 넘는 지지도를 보면 이런 성향은 단적으로 알수 있다.

독재정권에 대해 반기를 가장 먼저 들었고 가장 치열하게 투쟁했던 지역이 호남이었던 것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좀 더 거슬러 올라가면 또 과거 일제 침략기인 1910년대를 보건대 전국에서 가장 항일의병운동이 활발한 지역 역시 호남이었다.

호남은 외부의 침략에 대해선 내부결속력을 내세워 강한 단결력을 보이지만 내부적으로는 ´분열´ 이라는 양면구조가 상존해왔다.호남정치가 중심역할을 했던 과거 민주당과 열린우리당의 분열과정이 바로 그랬으며 서울의 ´호남향우회´가 바로 그래왔었다.

정리하자면 호남은 과도한 정치성향을 갖고 있고 배타적 정치의식이 바탕이 된 저항적 애향주의를 지니고 있다.

먹고사는 경제문제보다는 정치에 치우쳐 있고 그러다보니 지역의 우수한 인력이 정치주위에 몰려있다.그러다보니 이런 지방정치를 다루는 지방신문도 타 지역에 비해 훨씬 많다.

경상도를 비롯한 타 도에는 2~3에 불과한 지방신문이 호남 특히 광주전남에는 10여개가 훨씬 넘게 있을 정도다.경제와 일자리 창출에 신경써야 할 지방의 주요 인사들이 생산성 없는 정치에 오히려 관심이 많다.

고위 공무원도 지역경제 활성화나 먹고사는 문제보다는 지역정치나 여론에 신경을 많이 쓸 수밖에 없다. 이런 여론에 신경이 갈 수 밖에 없는 정치현실에다 그런 정치판에서 소외되면 본인만 불이익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정치 지향적인 사고 틀은 해마다 돌아오는 선거가 주요 원인이다.게다가 과도한 정치지향적인 의식이 정작 호남의 중요한 문화나 교육의식을 오히려 깎아 먹을때도 있다.문화관광부가 추진했던 광주아시아문화전당 사업이 대표적인 경우다.

그럼에도 내부적으로 힘을 합치는 데는 인색하다. 반대목소리를 가진 격앙된 사람들에게 오히려 여론의 힘이 쏠린다.이러다보니 더 큰 파이를 만들기보다는 일단 자기 몫 지키기에 관심이 있다.

이번 전남지역 통합 여론조사에서도 이런 현상이 그대로 비춰졌다.

동일한 경제생활권에 있음에도 자기 몫만 지키고자 했던 광양의 반대가 통합을 물거품으로 만들었고 인구수에 밀린 무안 신안의 격렬한 저항이 결국 목포와의 통합을 무산시켰다.

광양만권 통합 역시 지난 7월 순천 KBS 여론조사 당시 여수79.3%, 순천81.2%, 광양55.2% 의 높은 찬성율을 기록했지만, 9월초부터 광양시의회가 반대여론을 주도하면서 결국 이번 통합을 무산시켰다.

여수-순천-광양과 경제구조가 거의 동등한 조건하에 놓인 경남의 마산-창원-진해는 물론 광양 바로 옆에 위치한 진주와 산청도 이번 통합에 찬성했음에도 호남에선 단 1곳도 성사가 안된 것이 이를 반증한다.

경상도가 통합을 앞두고 안에서 뭉친 반면 호남은 안에서 갈라섰다. 이게 호남과 영남의 차이다.

물론 호남의 이런 결과는 지역이기주의를 앞세워 ´분열의 정치´를 선호한 호남의 지역정치인들이 한 몫을 한 것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저작권자 © 데일리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