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부지표 73개 중 61개 지표인 83.6% 향상으로 나타나

광주광역시 인권지표가 지난해보다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시가 ‘2019년 인권지표 개선율’을 분석한 결과 5개 인권지표 영역 가운데 4개 영역이 지난해보다 향상된 것으로 분석됐다.

영역별 개선율은 ‘행복한 삶을 실현하는 도시영역’이 22.9%였으며, 문화를 창조하고 연대하는 도시영역 17.8%, 사회적 약자와 함께 하는 도시영역 5.2%, 자유롭게 소통하고 참여하는 도시영역 2.5%, 쾌적한 환경과 안전한 도시영역 –5.5% 등이었다.

특히 세부지표 73개 중 61개가 향상돼 2018년 58개보다 3개 증가했으며, 하락지표는 14개에서 12개로 2개가 감소했다.

인권지표 주요 증감내용으로 먼저 자유롭게 소통하고 참여하는 도시영역에서는,

공공기관 개인정보 보호기준 준수 지수(79.9→86.8점)가 개인정보보호 전담조직 운영 및 개인정보보호 교육이수자가 증가한 효과로 향상됐으며, 사회복지공동모금회 기부 참여율(2.00→2.08%), 자원봉사참여율(8.17→8.50%) 등도 광주형 자원봉사플랫폼 구축과 세계수영대회 개최기간 시민들이 나눔과 연대의 광주정신 실현으로 실적이 향상됐다.

반면 행정정보 공개율(96.9→94.6%)은 행정정보 청구건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나 개인정보·영업비밀 등 정보공개법에 의해 비공개로 결정된 건수가 늘어나면서 하락했다.

행복한 삶을 실현하는 도시영역에서는 노인 치매 조기 검진 수검률(12.8→29.5%)이 치매안심센터가 문을 열면서 대폭 향상됐으며, 이주노동자 노동상담건수(1945→3504건)는 외국인 근로자 대상 법률상담과 한국어 교육 실시 강화로 실적이 크게 늘었다.

또 인구 10만명당 자살사망자수(22.6→25.7명)는 전국 평균 26.6명에 비해 낮은 수준이나 전년보다 3.1명 증가해 자살원인분석 및 자살예방사업에 대한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사회적 약자와 함께 하는 도시영역에서는 5급 이상 여성공무원(20.8→21.7%), 보호대상 아동 중 가정돌봄아동수(80→100명), 남자육아휴직율(35.0→36.7%) 등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위기 청소년 지원율(29.4→27.3%)은 청소년 삶의 방식 변화 등으로 인해 다소 하락했다.

쾌적한 환경, 안전한 도시영역에서는 미세먼지 등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1인당 도시공원 조성면적(5.99→6.17㎡), 도시공원 조성율(43.8→44.0%)은 용산지구, 효천1지구 근린공원 조성, 상록근린공원 추가 구역 지정 및 빛고을 농촌테마공원 조성 영향으로 향상됐다.

식품부적합율(0.08→0.15%)은 전국적으로 A형 간염 유행의 원인이 된 조개젓 등의 식품에서 부적합 판정 비율이 높았던 영향으로 하락세를 보였다.

문화를 창조하고 연대하는 도시영역에서는 청소년시설 지원 예산액(17억1700만→35억6700만원), 청소년시설 설치(13→15곳)는 용봉·봉선 청소년 문화의 집 준공 및 개관의 영향으로 확대됐다.

더불어 인권국제기구 회의 및 단체가입건수(2→3건), 인권정책 협약체결건수(0→1건) 등이 늘어나면서, 남미와 유럽, 아시아 여러 국가들과의 인권교류를 통해 인권도시 광주를 국제사회에 알릴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됐다.

인권지표와 관련된 내용은 민주인권포털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용만 시 민주인권과장은 “광주시는 민주·인권·평화의 정신과 가치를 시민의 일상 삶 속에 뿌리내리기 위해 광주인권헌장과 인권지표를 마련해 인권도시의 모델을 만들어 가고 있다”며 “인권지표를 해마다 분석평가해 부진지표의 경우 원인을 파악해 개선하고 향상지표는 더욱 발전시켜 인권도시 광주 실현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인권지표는 지난 2012년 5월21일 광주인권헌장의 실천력을 제고하기 위해 영역별 세부 평가 및 분석할 지표를 정해 2013년부터 매년 전년 대비 개선여부를 자체평가한 후 인권증진시민위원회 심의를 거쳐 그 결과를 시민에게 공개하고 있다.

저작권자 © 데일리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