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광주시민들 16년 갈등속 피로감만 가중되고...

이용섭 광주광역시장이 지난7월 전국 직무수행지지도 평가에서 17개 광역단체장중 17개 광역시도 중 10위에 그친 가운데, 민선7기 이용섭 시장 체제는 2개월째 접어들었지만 도시철도·현대차 협약 등등 시민단체·노조와 갈등만 쌓이고 있는 형국이다.

광주도시철도 2호선 만해도 민선 3기부터 7기까지 10여년 동안 건설방식과 노선 등을 놓고 논란에 논란만 거듭되면서 광주지역 사회에 갈등과 피로감만 가중되고 있다.

이 시장은 “찬바람 불기 전에 결론을 내겠다”고 여러 차례 강조했지만 시민단체는 ‘시민 숙의형 공론화 방식 적용’을 요구하며 맞서고 있는 형국이다.

최근에는 광주시와 시민단체간에 고성이 오가는 물리적 충돌이 빚어지고 있다.

광주시가 시민과의 소통을 위해 만든 ‘시민권익위’는 중립적인 인사로 구성되어 공론화에서 ‘공론 방식’을 결정해야 한다는 입장이며 이에 반해 시민단체는 ‘숙의’를 공론 방식으로 전제에 공론화위를 구성해야 한다며 팽팽히 맞서고 있다.

급기야 지난 18일 광주시 관계자에 따르면 최근까지 최영태 시민권익위원장 주재로 3차례에 걸쳐 도시철도 2호선 공론화위 구성과 관련해 준비 회의가 열렸으며 이 과정서 최 위원장은 최소 7명의 중립적인 인사와 광주시, 사람중심 미래교통 시민모임(이하 시민모임)의 입장을 대변하는 인사 각각 2명씩 최대 11명으로 공론화위를 구성할 것을 제안했다고 전했다.

이에 시민모임은 지난 16일 오전 11시경 광주시의회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용섭 시장은 도시철도 2호선 공론화 약속을 이행하라”고 촉구하며, 이어 시장실을 항의 방문했고, 이 와중에 공무원들과 물리적 충돌까지 빚어졌다.

고성이 오가고 소란이 커지자 이시장이 시장실에서 나왔고, 이용섭 시장이 “이런 일방적 요구 방식은 안된다며 약속도 없이 불시에 찾아오는, 어디서 배운 버르장머리냐”고 발언했다가 시민단체 관계자들과 고성이 오가는 언쟁이 빚어지기도 했다.

이어 시민모임은 "시민사회의 공론화요구를 수용하는 듯 형식적인 공론화기구를 구성한 후 실제는 속전속결 여론조사를 통해 지하철 2호선을 강행하려는 기존의 속내를 여실히 드러낸 것"이라며 "충분한 숙의기간을 거치고 판단을 하면 도시철도 2호선에 대한 시민들의 생각이 달라질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이에대해 광주시 관계자는 “공론화 포기, 일방적 공론화 기구 구성 등은 시민단체의 일방적인 주장”이라며 “공론화위가 결정하는 방식을 따를 것”이라고 말했다.

이용섭 광주시장이 '새로운 광주형 협치모델'을 만들고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16년 넘게 지속돼온 뿌리깊은 불신의 벽을 허무는 작업이 선행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도시철도 2호선은 2002년 최초 승인·고시된 이후 16년 동안 ‘건설이냐 백지화냐’ 논란을 비롯해 운행 노선, 건설방식, 차량 형식 등을 놓고 지리한 논쟁을 벌인 끝에 현행 저심도 경전철 방식이 확정됐다.

광주시청∼월드컵경기장∼백운광장∼광주역∼첨단∼수완∼시청 구간의 41.9㎞ 순환선이다.

‘도시철도 2호선은 지난 2005년(민선 3기) 박광태 시장 시절 지상고가 방식으로 결정. 그러나 민선 5기인 2013년 강운태 시장이 저심도 방식으로 기본계획을 변경, 민선 6기인 2014년 7월 윤장현 시장 취임 이후 논란은 더욱 커졌다.

윤 시장은 당시 인수위 시절부터 2호선 건설 재검토 방침을 밝혔고, 이를 바탕으로 여론조사 등을 실시, 결국 2014년 12월 도시철도 2호선 원안 건설을 선언했으나, 지난해 3월 푸른길 훼손 논란이 불거져 기본설계 용역을 중단했었다.

2025년까지 완공 예정이고, 기본설계상 예상 사업비는 2조549억원에 이른다. 시민모임은 이같은 방식을 적용할 경우 공사비와 공사기간이 과다 소요된다며 재검토를 요구해 왔고, 결국 시민공론화까지 이끌어냈다. 시민모임은 노면 전차인 트램(TRAM)이나 간선급행버스체계 BRT(Bus Rapid Transit)를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데일리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