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광주총국 이주성 기자 한국언론학보 통해 주장

 
광주·전남 지역 언론이 '여론 형성'과 '주민의 알권리 보장' 등 언론 본연의 기능을 제대로 못 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KBS 광주방송총국 윤주성 기자는 최근 한국언론학보 8월호에 전남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석사 학위 논문을 통해 "지방자치제 시행 이후 지방정부의 수장인 자치단체장의 권한과 위상이 크게 강화되면서 지역 언론의 뉴스 선택과 내용 결정 등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윤 기자 또, "지역 언론 통제방식들이 언론의 자율성을 훼손하고 있지만 큰 논란 없이 통용되고 있다"며 "지방정부가 가진 권력이 '지역의 대통령'으로 비유될 만큼 위상이 막강해지면서 이 같은 언론통제는 전남도 보다 광주시의 '통제 방식'과 강도가 강력했다"고 진단했다.

윤 기자는 "지자체 시행 이후 자치단체장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의 권한과 위상이 크게 강화됐다"며 "비공식적인 통제방식과 '언론인 포섭' 전략을 통해 지역 언론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고 현직에 활동하면서 느낀 내용을 토대로 이 같이 주장했다.

이와 관련, "지역 언론의 핵심 역할인 비판·감시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정치권력이나 행정의 치적 홍보 매체라는 평가까지 받고 있다"고 비판하고 큰 이유로 "지역 언론이 만성적인 적자와 함께 지방정부가 최대 광고주로 부상하면서 비판적 기사의 생산을 억제하고 있는 한 요인"이라고 윤 기자는 설명했다.

아울러 "언론 자유가 보장된 상황에서 지방정부의 지역 언론 통제방식은 법적, 제도적 통제와 같은 공식적 통제를 벗어난 형태의 '비공식적 통제'와 '언론인 포섭' 시도로 요약할 수 있다"며 "비판 기사 작성이 예상되면 취재 단계에서부터 보도 내용에 대한 영향과 인사 개입, 심리적 압박 등으로 언론을 통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같이 언론통제의 한 수단으로 윤 기자는 "지방정부 산하 공기업 등의 일자리와 물질적 향응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언론인 포섭을 시도했다"고 상기시켰다.

그는 이어 "지방정부의 지속적인 영향력 행사에 따른 지역 언론의 생존 전략은 수익(광고) 극대화를 위한 적극적 거래와 순응 그리고 긴장 관계 형성으로 분석됐다"며 "대부분 지역 일간지와 지역 방송사들까지 생존 위기와 경영난에 봉착한 상황에서 지역 언론의 최대 화두는 '생존'이라는 말로 요약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윤 기자는 "결론적으로 지방정부가 지역 언론의 최대 수익원으로 부상하면서 각종 행·재정적 권한을 동원해 다양한 형태의 비공식통제를 시도하고 있다"며 "지역 언론은 이에 대한 비판·감시 기능을 축소하고, 지방 정부가 원하는 시각의 기사를 선택, 보도하면서 수익 극대화를 추구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윤 기자는 "광주시청과 전남도청을 출입한 기자들을 면접해 경험담과 소회 등을 토대로 지자체와 언론과의 관계를 분석했다"며 논문 발표의 근거를 설명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