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국정 역사교과서 최종본을 31일 공개했다.

아울러 중학교 역사, 고등학교 한국사 검정교과서 집필기준도 발표했다.

교육부는 이영 차관 주재로 31일 오전 11시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국정 역사교과서 최종본을 예정대로 발표했다.

교육부는 지난해 11월 28일 국정 역사교과서 현장검토본을 공개하고 현장 교사, 학자, 전문가, 일반 시민 등 각계 의견을 수렴해왔다.

의견 수렴 과정에서 국정 역사교과서가 친일·독재를 미화한다는 비판에 '최순실 게이트'까지 터지자 교육부는 지난달 27일 기자회견을 열어 국정교과서 현장 적용 시기를 2017년에서 2018년으로 1년 연기한다고 발표했다.

교육부는 계획대로 국정교과서 현장 적용 방안을 추진하고 있지만 국정교과서 현장검토본에서 문제가 됐던 내용들은 대부분 수정치 않고 단순 오탈자, 사진 등만 수정해 '교과서 질'을 둘러싼 논란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국정교과서 핵심 쟁점인 대한민국 건국 시기 서술과 관련해 교육부는 검정 집필기준에서 '대한민국 수립'과 '대한민국 정부 수립' 용어를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8·15 광복 이후 전개된 대한민국의 수립 과정을 파악한다'는 집필기준 자체는 국정교과서의 '편찬기준' 내용과 같지만, 집필 '유의사항'에 '대한민국 출범에 대해 대한민국 수립, 대한민국 정부 수립 등으로 표현하는 다양한 견해가 있음에 유의한다'는 문구를 추가한 것이다.

탐라의 채색이 일본과 비슷해 오해의 소지가 있거나, 델로스 동맹과 펠로폰네소스 동맹의 결성 순서가 뒤바뀐 부분, 르네상스 운동이 전개 된 시기 등 객관적 사실관계에 오류가 있는 부분을 수정했다.

개항기와 일제 강점기 관련 부분에서는 구한말과 일제강점기 친일파의 친일행위를 ‘친일 반민족 행위 진상 규명 보고서’의 구분에 따라 5가지 유형으로 분류해 친일 반민족 행위로 서술했다.

게다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와 관련한 서술 중 수요 시위 1000회를 기념한 평화의 소녀상 건립 사실과 일본군에 의한 일본군‘위안부’ 집단 학살 사례를 새롭게 본문에 명시했다.

현대사 관련 쟁점사항에 대해서는 김구 선생의 암살 사실을 추가하고, 제주 4․3 사건 관련 서술에서 오류가 있었던 특별법의 명칭을 정정하는 한편, 제주 4․3 평화 공원에 안치되어 있는 희생자의 위패 관련 내용을 수록했다.

새마을 운동과 관련해서는 해당 운동의 성과와 함께 ‘관 주도의 의식 개혁운동’으로 전개되었다는 한계점도 명시했다.

교육부는 그동안 '비공개' 원칙을 고수해왔던 국정교과서 편찬심의위원 12명의 명단도 이날 함께 공개했다.

편찬심의위원은 위원장인 이택휘 전 서울교대 총장을 비롯해 김호섭 동북아역사재단 이사장, 이기동 한국학중앙연구원 원장, 이성규 서울대 명예교수, 허동현 경희대 교수, 강규형 명지대 교수, 정한숙 옥천여중 교사, 윤춘옥 인천예일고 교사, 김명철 서경중 교감, 황선경 명덕여고 교사, 학부모 이철문·김동순이다.

저작권자 © 데일리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