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억 투입한 만남의 광장 폭포, 2억 들인 벽천(壁泉)..불과 몇년 후 특색 실종

▲ 목포 인공폭포
(데일리안광주전라=이원우 기자)전남 목포시가 설치한 부흥산 인공폭포가 시민들의 휴식공간과 볼거리 제공, 외지 관광객들의 관광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다는 당초의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어 목포시민들이 ‘예산 낭비 사례 1순위’로 손꼽으면서 시 행정에 대한 비판이 거세게 일고 있다.

또한 무려 26억원을 투입해 LED조명을 곁들여 설치한 인공폭포가 과도한 운영비로 가동을 멈추는 때가 많고, 과 예산 투입에 따른 효율성마저 떨어져 국내 최대 규모의 인공폭포라며 홍보에 열을 올렸던 목포시의 자존심을 구기며 지역 시민사회단체의 맹비난을 받고 있다.

2일 목포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2006년 9월 국도2호선 영산강하구언 입구에 국내 최대 규모의 인공폭포를 총사업비 18억3천500만원을 투입해 6개월의 공사 후 가동에 들어갔다.

당시 시는 폭포 2면에 크고 작은 폭포수가 떨어져 웅장하고 아름다운 장관을 연출하고 야간경관효과를 위해 삼학도를 상징하는 청·홍·백 3색의 LED조명으로 야경이 아름다운 관광도시로 만들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발표했다.

또 부흥산공원 절개지 경사면을 최대한 활용해 주변 환경과도 잘 어우러지는 반영구적인 유리섬유강화 콘크리트를 사용하고 연못주변에는 풀과 나무를 심어 자연친화적인 시민들의 휴식공간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불과 3년이 갓 지난 2009년 11월 8억800만원을 들여 1천150㎡의 폭포면에 인조암을 붙이고 경관조명 시설을 위한 보강공사를 한다며 8억의 예산을 추가로 투입해 총 26억원의 예산이 들어갔다.

당시 시는 물이 떨어지는 폭포면이 시간이 지나면서 물때가 끼어 검게 변했고, 자연암과 인조암이 부조화를 이뤄 '흉물스럽다'는 시민들의 지적을 받아 추가 예산을 투입했고, 인조암을 붙여 조경과 경관조명을 보강하는 공사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 목포 인공폭포
또한 목포시는 2009년 3월 원도심에 새로운 경관시설인 인공 벽천(壁泉)도 설치했다.

시는 시 금고은행인 기업은행의 협력기금 2억원을 들여 기업은행 목포지점 앞에 인공 벽천과 급수시설 설치 공사를 완료하고 가동에 들어갔다.

당시 시는 외지 관광객에게 ‘관광도시 목포'의 이미지를 부각하고 원도심 로데오광장, 청소년문화예술공원, 청소년문화센터 등과 함께 유달산 도시자연공원과 연계한 관광상품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그러나 현재 시가 기대했던 만큼 원도심지역의 새로운 관광상품과 원도심 상권 활성화에 어느 정도 기여했느냐는 4년이 지난 지금까지 어떠한 결과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이에 목포청년 100인포럼 등 지역 시민단체와 시민들은 인공폭포와 벽천에 대해 심각한 예산 낭비를 지적했다.

비슷한 규모의 인공폭포가 전국 타 자치단체에서 앞 다투어 설치하면서 지역 특성을 살린 관광자원이라 볼 수 없다는 주장이다.

조경전문가인 강모씨는 “인공폭포 건설은 목포지역 실정에 잘 맞지 않는다”며 “4계절이 뚜렷하고 동절기가 오래 지속되는 한국에서는 물을 이용한 볼거리는 관리가 어렵고 공간활용 측면에서 효율성이 낮다”고 설명했다.

인공폭포를 보기 위해 목포를 찾는 관광객이 어느 정도인지 정확한 통계를 산출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26억원의 예산을 지역 특색에 맞는 관광자원 개발에 활용했을 경우 더욱 큰 효과를 얻었을 것이란 주장이다.

목포청년100인포럼 관계자는 당초 18억원의 예산을 들여 제대로 된 인공폭포를 설치했다면 보강공사에 들어간 8억원의 예산은 추가로 투입하지 않아도 됐다고 지적했다.

100인 포럼 관계자는 “관리감독 권한이 있는 공무원이 안일한 자세로 공사 감독을 함으로써 예산을 낭비했다”며 “지역주민들의 삶보다는 전시적이고 과시적인 행정을 펼치는 경우가 많아 볼거리 위주로 사업을 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분수대든 인공폭포든 지역의 역사성과 문화가 바탕이 돼서 지역의 정체성을 잘 말해주는 것이어야 한다”며 “분수대나 인공폭포가 이런 지역 정체성과 동떨어진 것이라면 인스턴트 컵라면과 다를 바가 없다”고 주장했다.

목포시의회 A모의원은 “이 같은 사례가 자치단체에서 되풀이되고 사업추진 후 효율성에 대한 철저한 검증 절차가 없어 공무원들이 무사안일하게 사업을 추진하면서 벌어진 난맥상이다”며 “아니면 말고 식의 책임감없는 업무는 이젠 사라져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